반응형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116번째 한자성어 어로불변 魚魯不辨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어로불변 (魚魯不辨) 이라는 한자성어는 "물고기와 노나라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누군가가 매우 혼란스러워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매우 흔히 보이는 것조차 구분하지 못하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이 한자성어의 유래는 중국 전국시대의 노나라에 관한 이야기에서 비롯됩니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한 사람이 노나라의 주변을 여행하면서 노나라의 형태와 물고기를 구분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혼란스러워했다는 데서 유래했습니다. 이는 전쟁과 혼란의 시기에 빗대어, 사람들이 일상적인 것들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극도의 혼란과 상실감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한자성어 어로불변은 일반적으로 인지능력이 현저히 감소했거나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을 설명할 때 쓰입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물고기 어 (魚), 노나라 로 (魯), 아닐 불 (不), 분별할 변 (辨).
암기방법은 "어"제는 "로"그를 "불"러 "변"호하게 했네. 로 ‘어로불변’를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한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118번째 한자성어 점입가경 漸入佳境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3) | 2024.12.24 |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117번째 한자성어 운니지차 雲泥之差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24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115번째 한자성어 상전벽해 桑田碧海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20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114번째 한자성어 본말전도 本末顚倒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20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113번째 한자성어 고립무원 孤立無援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