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직급#공무원#공무원직위#공무원

공무원의 직위체계 중 광역자치단체인 광역시와 도청에 대해서 설명 공무원의 직위체계 중 광역자치단체인 광역시와 도청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광역자치단체장은 광역시장, 도지사를 말한다.그 아래에 부시장, 부지사가 있다.부지사는 행정부지사, 정무부지사를 둘수 있고, 지역특성에 따라 추가로 두는 경우도 많다.행정부지사는 대부분 공무원안에서의 승진이지만, 정무부지사는 대부분 별정직 지방공무원으로 내부 승진이 아닌 광역단체장이 당선된 후에 임명하는 경우가 많으며 단체장 유고시 자동 면직된다.2급 실장, 3급 국장, 4급 과장, 5급 팀장이 있으며, 2급의 경우는 광역자치단체마다 조금 다를수 있다. 기초자치단체보다 직급별 직위가 1단계가 높아 상위직급에 따른 자리가 많아 기초자치단체에 비해 승진의 기회가 많다 https://youtube.com/shorts/Pe5ED3kiwYw 더보기
공무원의 직위체계 중 기초자치단체의 시와 군에 대해서 설명 공무원의 직위체계 중 기초자치단체의 시와 군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기초자치단체장은 시장, 군수를 말한다.그 아래에 부시장, 부군수가 있다.시의 경우 부시장 직급이 2급, 3급, 4급이 있고, 인구에 따라서 다르다.인구 10만명 이하 시는 4급, 10만명 이상 50만명 미만은 3급, 50만명 이상이면 2급이 부단체장으로 임명된다. 부군수도 인구수는 시와 같이 적용한다.그다음이 4급인 국장, 5급인 과장, 6급인 팀장이 있다.6급의 경우는 팀장이 아니어도 승진해서 팀장밑에서 일하는 직원도 많이 있다.이를 무보직 6급이라고 한다.팀별 직원수는 일반적으로 3~6명정도 팀원이 되어서 근무를 한다. https://youtube.com/shorts/rTkUfNb456c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