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97번째 한자성어 지리멸렬 支離滅裂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지리멸렬(支離滅裂)은 흩어지고 찢기어 갈피를 잡지 못하는 모습을 묘사하는 한자성어입니다. 즉, 어떤 사물이나 상황이 매우 혼란스럽고 체계가 없어 엉망진창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한자성어의 유래는 중국의 고전 철학서인 장자(莊子)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장자의 '인간세(人間世)' 편에는 지리소(支離疏)라는 척추가 뒤틀리고 팔다리가 제대로 붙어 있지 않은 기형적인 사람이 등장합니다. 그리고 '칙양(則陽)' 편에는 멸렬(滅裂)이라는 단어가 등장합니다. 이는 '엉터리로 아무렇게나 한다'는 뜻으로, 정치를 할 때 성의 없이 함부로하는 것을 비판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즉, 지리멸렬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극도로 혼란스럽고 체계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게 된 것입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지탱할 지(支), 떠날 리(離), 멸망할 멸(滅), 갈라질 렬(裂).
암기방법은 '지'식 없는 '리'더가 '멸'망을 부르니 '렬'하게 혼란스럽네. 로 ‘지리멸렬’을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한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99번째 한자성어 반의지희 斑衣之戱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2) | 2024.12.13 |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98번째 한자성어 명약관화 明若觀火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13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96번째 한자성어 호가호위 狐假虎威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13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95번째 한자성어 초요과시 招搖過市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10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94번째 한자성어 파죽지세 破竹之勢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