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백척간두(百尺竿頭)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132번째) 백척간두(百尺竿頭)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백척간두" 뜻은 "백 척 높이의 장대 끝"이라는 뜻으로, 한 단계 더 발전하여 더 큰 성과를 이루려고 하는 매우 높은 위치나 중요한 순간을 의미합니다.이 표현의 유래는 중국 선종(禪宗, Zen Buddhism)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이 표현은 선종에서 자주 사용하는 공안(公案, Koan) 중 하나인 "백척간두에 매어서"에서 나옵니다. 공안은 선 수행자가 깨달음을 얻도록 돕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적 도구로, 사물의 본질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일상적인 사고방식을 벗어나도록 하는 질문이나 상황을 제시합니다."백척간두" 공안에서는 수행자가 매우 높은 장대의 끝에 선 상태를 상상하게 하여, 그 위태로운 순간에 어떤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지를 탐구하게.. 더보기
수오지심(羞惡之心)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131번째) 수오지심(羞惡之心)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수오지심(羞惡之心)"은 인간이 타고난 다섯 가지 본성 중 하나로서, '부끄러움과 악을 싫어하는 마음'을 의미합니다. 공자는 사람들이 본능적으로 부끄럽고 나쁜 일을 싫어하는 마음을 가지고 태어났다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생각은 공자의 주요 저서인 《논어》에 자주 나타납니다.수오지심은 인간이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동을 추구하도록 내면에서 작용하는 양심적인 성향을 나타냅니다. 이 마음이 잘 발달하면 스스로를 돌아보고 부끄러움을 아는 동시에 부정과 부도덕을 멀리하는 도덕적 행동을 하게 된다고 설명됩니다. 이런 관점은 유교에서 중요한 덕목 중 하나로 여겨지며, 개인의 성숙과 사회적 조화를 이루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강조됩니다.한자의 음과 뜻은 부끄러울 수(羞), 미워할.. 더보기
자가당착(自家撞着)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130번째) 자가당착(自家撞着)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자가당착 (自家撞着)은 "스스로 자(自), 집 가(家), 부딪칠 당(撞), 붙을 착(着)"이라는 한자어로, "자기 자신이 한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맞지 않고 모순되거나 충돌함"을 의미합니다. 즉, 자기 자신의 말이나 행동이 일관되지 않아서 스스로 모순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이 성어의 유래는 고대 중국의 철학자들이 논리적인 오류를 지적할 때 자주 사용되던 표현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특히 논쟁이나 토론에서 상대방의 논리가 일관되지 않거나 모순이 생길 때, 이 표현을 사용해 비판했습니다. 한 예로, 한 사람이 "모든 칼을 뚫을 수 있는 창"과 "아무것도 뚫리지 않는 방패"를 동시에 자랑한다면, 이는 자가당착에 해당합니다. 이처럼 자가당착은 논리적 모순을 지.. 더보기
일장춘몽(一場春夢)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129번째) 일장춘몽(一場春夢)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일장춘몽 (一場春夢)은 "한바탕의 봄날의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이나 세상 일이 허무하고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한자성어입니다. 이는 무상함과 덧없음을 상징하며, 사람의 삶이나 성공이 마치 꿈처럼 잠시 스쳐 지나가는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이 성어는 당나라 때의 유명한 문인 설도(薛濤)가 쓴 《한단기》라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야기의 주인공인 노생(盧生)은 한단에서 여관에 머물며 낮잠을 자다가 꿈을 꾸게 됩니다. 꿈 속에서 그는 부귀영화를 누리고 성공한 삶을 살지만, 꿈에서 깨어나 보니 모두가 허망한 꿈이었음을 깨닫습니다. 이처럼 일장춘몽은 인생의 덧없음을 깨닫게 하는 교훈적인 이야기를 바탕으로 합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더보기
전거가감(前車可鑑)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128번째) 전거가감(前車可鑑)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전거가감" (前車可鑑)은 한자성어로, "앞선 수레를 볼 수 있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과거의 사례를 보고 교훈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표현은 과거의 실패나 실수에서 배워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하자는 교훈적인 메시지를 전달합니다.유래는 중국의 고사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전거"는 앞선 차량을 의미하고, "가감"은 볼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 성어는 한나라 때의 인물인 양형(揚雄)의 저작인 《패국론》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양형은 자신의 저서에서 앞선 왕조나 국가들의 역사를 되돌아보며, 그들의 실패와 성공에서 교훈을 얻어 현재와 미래의 통치에 반영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이처럼 "전거가감"은 역사적 경험을 통.. 더보기
현직 9급 공무원의 봉급표를 샘플로 보면서 9급 공무원 봉급의 상세내용에 대해서 안내해 드립니다. 지방직 9급 봉급표 세부내역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공부원보수 내용에는 본봉, 정근가산금, 기술정보수당, 시간외근무수당, 정액급식비, 직급보조비, 대민활동비가 있습니다.이 내용은 지자체 지방 공무원에 해당되는 봉급표입니다.내용중에 기술정보수당은 기술직공무원들의 자격증 소지시 주어지는 수당입니다. 시간외수당은 일반적으로 15시간을 인정을 해주지만, 추가로 근무 시간외에 근무를 하면 시간외 근무 수당이 지급됩니다.단, 평일에는 시간외근무를 할 경우 1시간을 제외하고 그다음 시간부터 인정을 해줍니다.가령 18시 퇴근 후 21시까지 시간외 근무를 했다면, 19시까지의 1시간을 제외하고 19시 이후부터 21시까지 2시간을 시간외 근무수당을 지급합니다. 대민활동비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에게 지원하는 수.. 더보기
2025년 공무원 봉급표 2025년 공무원 봉급표 대해서 안내해 드립니다.2024년도에 비해 공무원 봉급이 3% 인상이 되었습니다.봉급표는 아래 그림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공무원시험 127번째 한자성어 조이불망 釣而不網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공무원시험 127번째 한자성어 조이불망 釣而不網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조이불망(釣而不網)은 "낚시질은 해도 그물을 치지는 않는다"는 뜻으로, 욕심을 부리지 않고 적당한 선에서 만족함을 의미하는 한자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무언가를 얻을 때 지나치게 욕심을 부리지 않고, 적당히 필요한 만큼만 얻으려는 태도를 나타냅니다.이 한자성어는 중국 고전 "맹자"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맹자의 제자인 만장(萬章)이 맹자에게 물었습니다. "어찌하여 성인은 물고기를 낚아도 그물을 치지 않습니까?" 이에 맹자는 "군자는 물고기를 낚아도 그물을 치지 않는 법이니, 이는 적당히 해야 한다는 뜻이다"라고 대답했습니다. 현대에서도 과도한 욕심이나 무절제한 행동을 경계하고, 자신에게 필요한 만큼만 추구하는 태도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