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112번째 한자성어 견리사의 見利思義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견리사의 (見利思義) 라는 한자성어는 "이익을 보면 의를 생각하라" 또는 "이익을 볼 때 의리를 생각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표현은 사람들이 이익을 추구할 때도 도덕적 원칙과 의리를 고려하며 행동해야 한다는 가르침을 전달합니다.
이 한자성어의 유래는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인 공자(孔子)와 관련된 이야기에서 비롯됩니다. 공자는 제자들에게 재물이나 이익을 추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과정에서 의리와 도덕적 가치를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한자성어는 그러한 교훈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견리사의는 특히 이익이 주어졌을 때 그 이익을 취하기 전에 의리와 정의를 우선 고려하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이는 개인의 행동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와 정치 등 다양한 영역에서도 적용되는 윤리적 지침으로 활용됩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볼 견 (見), 이익 리 (利), 생각할 사 (思), 의로울 의 (義).
암기방법은 "견"제에 "리"듬을 "사"랑하며 "의"미를 찾네. 로 ‘견리사의’를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한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114번째 한자성어 본말전도 本末顚倒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20 |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113번째 한자성어 고립무원 孤立無援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20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111번째 한자성어 갑남을녀 甲男乙女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17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110번째 한자성어 일어탁수 一魚濁水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16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109번째 한자성어 앙급지어 殃及池魚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1)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