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113번째 한자성어 고립무원 孤立無援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고립무원 (孤立無援) 이라는 한자성어는 "외롭게 서 있고 도움이 없다"는 의미로, 혼자서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으며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태를 묘사합니다. 이 표현은 주로 개인이나 집단이 완전히 고립되어 어떠한 지원이나 도움도 받지 못하는 상황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이 한자성어는 고대 중국의 정치적 또는 군사적 상황에서 한 세력이나 개인이 외부의 도움을 전혀 받지 못하고 고립된 상태에 놓였을 때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동양 고전에서 종종 등장하며, 개인의 운명이나 힘의 역학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한자성어 고립무원은 비유적으로나 글에서 개인의 외로움과 절망감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데 쓰여 왔으며, 현대에도 비슷한 상황을 표현하는 데 자주 활용됩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외로울 고 (孤), 설 립 (立), 없을 무 (無), 도울 원 (援).
암기방법은 "고"양이가 "립"서비스에 "무"감동하며 "원"망스러워하네. 로 ‘고립무원’을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한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115번째 한자성어 상전벽해 桑田碧海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20 |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114번째 한자성어 본말전도 本末顚倒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20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112번째 한자성어 견리사의 見利思義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1) | 2024.12.17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111번째 한자성어 갑남을녀 甲男乙女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17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110번째 한자성어 일어탁수 一魚濁水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