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65번째 한자성어 난형난제(難兄難弟)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난형난제는 한자어로, "형과 동생이 서로를 능가하기 어렵다"라는 뜻을 가진 한자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형제 간에 비슷한 능력이나 성격을 가지고 있어 서로 구별하기 어렵거나, 각자가 각자의 방식으로 탁월하여 비교가 어려울 때 사용됩니다.
유래를 살펴보면, 이 표현은 중국 한나라 때의 고사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양유라는 학자가 한무제에게 제출한 문서인 "방언"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양유는 형제 간의 관계를 비유하면서, 두 사람이 서로 능력이 비슷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는 점을 표현하고자 이 한자성어를 사용했습니다.
"난형난제"는 형제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두 사람이 비슷한 수준이어서 서로를 능가하기 어렵다는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이는 두 개체나 두 가지 상황이 서로 흡사하여 경쟁이 치열하거나 비교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어려울 난(難), 형 형(兄), 어려울 난(難), 아우 제(弟)
암기 방법은 ’난‘감한 상황에 ’형‘은 ’난‘제를 ’제‘ 탓으로 돌린다. ’난형난제‘로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한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67번째 한자성어 환골탈태(換骨奪胎)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4 |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66번째 한자성어 막무가내(莫無可奈)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1) | 2024.12.04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64번째 한자성어 격세지감(隔世之感)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1) | 2024.12.03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63번째 한자성어 교왕과직(矯枉過直)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3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62번째 한자성어 등고자비 登高自卑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