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성어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62번째 한자성어 등고자비 登高自卑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반응형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62번째 한자성어 등고자비 登高自卑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등고자비는 직역하면 '높은 곳에 오르면 스스로 낮아진다'는 의미입니다. 이 성어는 물리적인 높이에 오를수록, 주변을 넓게 내려다보며 스스로의 위치나 상황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게 되어 겸손해진다는 철학적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유래는 중국 고대의 문헌과 사상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특히 도가사상에서 비슷한 개념이 많이 나타나는데, 물리적으로 높은 곳에 올랐을 때 느끼는 심리적 변화와 자아성찰을 통해 자신을 낮추는 겸손의 미덕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겸손은 동양철학에서 중요한 덕목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이 고사성어는 사람이 자신의 성취나 지위를 통해 높은 곳에 오르면 오히려 더 많은 것을 보고 더 많은 것을 이해하면서 스스로를 겸손하게 낮출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사회적, 정신적 성장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오를 등(), 높을 고(), 스스로 자(), 낮을 비()

암기 방법은 산을 집해 신을 판하네. ’등고자비로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