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83번째 한자성어 붕정만리 (鵬程萬里)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붕정만리 (鵬程萬里) 는 큰 새 붕새가 멀리 날아간다는 뜻으로, 원대한 꿈과 포부, 멀고 넓은 미래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한자성어입니다.
이 한자성어의 유래는 중국 고대 철학자 주희(周易)의 책에서 나오는 붕새 이야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붕새는 자신의 날개를 펼치고 날아올라 천 리를 나는 것을 즐기는 새로 묘사됩니다. 이 새는 크고 웅장한 날개를 가지고 있어, 한 번 날개짓으로 엄청난 거리를 날아갈 수 있다고 합니다. 이처럼 '붕정만리'는 큰 포부와 능력을 가진 사람이 마침내 큰 성공을 거두어 멀리 나아갈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한자성어입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붕새 붕(鵬), 길 정(程), 일만 만(萬), 리 리(里)으로써
암기방법은 ‘붕’붕 날아다니는 ‘정’말 멋진 ‘만’화 주인공처럼, ‘리’더가 되고 싶어”로 ‘붕정만리’를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한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85번째 한자성어 양상군자 (梁上君子)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8 |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84번째 한자성어 상마지교 (桑麻之交)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1) | 2024.12.08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82번째 한자성어 다기망양 (多岐亡羊)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8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81번째 한자성어 마부작침 (磨斧作針)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8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80번째 한자성어 백운고비 (白雲孤飛)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