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85번째 한자성어 양상군자 (梁上君子)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양상군자 (梁上君子)는 도둑에게 직접 비난 하기보다는 높여 부름으로써 스스로 반성하도록 하는 말입니다.
이 한자성어의 유래는 후한서(後漢書)에 나오는 진식(陳寔)이라는 인물의 일화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자신의 집에 도둑이 들었음을 알고 아들과 손자들을 불러 훈계를 시작합니다.
진식은 도둑이 대들보 위에 숨어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마치 도둑이 존경받는 군자라도 되는 듯이 높여 부르며 훈계를 했습니다. 이는 도둑을 나무라기보다는 그의 잘못된 행동을 반성하게 하고 스스로를 돌아보게 하려는 진심에서 나온 행동이었습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보 양(梁), 위 상(上), 임금 군(君), 아들 자(子)로써
암기방법은 ‘양’쪽 다 ‘상’처받지 않고 ‘군’자답게 ‘자’신의 의견을 말하자.”로 ‘양상군자’를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한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87번째 한자성어 금란지계 (金蘭之契)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9 |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86번째 한자성어 담소자약 (談笑自若)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9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84번째 한자성어 상마지교 (桑麻之交)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1) | 2024.12.08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83번째 한자성어 붕정만리 (鵬程萬里)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8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82번째 한자성어 다기망양 (多岐亡羊)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