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57번째 한자성어 지동지서(指東指西)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지동지서는 '동쪽을 가리키다가 서쪽을 가리킨다'는 뜻으로, 일관성 없이 자주 의견이나 태도를 바꾸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한자성어입니다. 이 한자성어는 사람이나 의견이 일관성이 없고 변덕스러울 때 사용됩니다.
이 한자성어의 유래는 중국 고대의 한 이야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어느 날 한 남자가 길을 가다가 길을 잃고, 동쪽을 가리키며 집의 방향을 묻자 그를 도운 사람이 그쪽이 맞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잠시 후 같은 남자가 다시 오더니 이번에는 서쪽을 가리키며 같은 질문을 했습니다. 이 사람은 남자의 의견이 계속 바뀌는 것에 혼란스러워하면서 이 한자성어를 사용했습니다. 이 이야기는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자주 방향을 바꾸는 사람들을 경고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지동지서는 정치, 사회, 개인 관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특히, 정치인이나 사회 지도자들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진실을 왜곡하거나 거짓말을 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가리킬 지(指), 동녘 동(東), 가리킬 지(指), 서녘 서(西)
암기 방법은 ’지‘하철에서 ’동‘생이 ’지‘갑을 ’서‘리 당했다. ’지동지서‘로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한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59번째 한자성어 소탐대실(小貪大失)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2 |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58번째 한자성어 지란지화(芝蘭之化)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2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56번째 한자성어 초근목피(草根木皮)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2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55번째 한자성어 십시일반(十匙一飯)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1.28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54번째 한자성어 이심전심(以心傳心)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