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54번째 한자성어 이심전심(以心傳心)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이심전심은 '마음으로 마음을 전달한다'는 뜻의 한자성어로, 말이나 행동 없이도 서로의 마음을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 깊은 정신적 교감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사람들이 말없이도 서로의 생각이나 감정을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는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
이심전심은 불교 경전에서 유래했습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영취산에서 설법을 할 때, 꽃 한 송이를 들어 보이며 묵언으로 법을 설했습니다. 제자 가섭만이 부처님의 뜻을 알아차리고 미소를 지었는데, 이를 두고 말없이 마음으로 법을 전했다고 하여 이심전심이라는 말이 생겨났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이심전심은 주로 가족, 친구, 연인 사이의 깊은 관계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또한, 팀워크가 중요한 직장이나 조직에서도 서로의 마음을 잘 알고 협력하는 모습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써 이(以), 마음 심(心), 전할 전(傳), 마음 심(心)
암기 방법은 ’이‘웃집 ’심‘슨 가족은 ’전‘화를 ’심‘심하면 해. ’이심전심‘으로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한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56번째 한자성어 초근목피(草根木皮)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2 |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55번째 한자성어 십시일반(十匙一飯)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1.28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53번째 한자성어 간담상조(肝膽相照)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1.28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52번째 한자성어 교언영색(巧言令色)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1.28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51번째 한자성어 목불식정(目不識丁)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1) | 202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