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52번째 한자성어 교언영색(巧言令色)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교언영색은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한자성어로, 매끄러운 말과 아첨하는 태도로 남을 속이려는 행위를 지칭합니다. '교언'은 교묘한 말을 뜻하고, '영색'은 얼굴 표정이나 태도가 곱게 꾸며진 것을 의미합니다. 이 한자성어는 사람을 현혹하거나 속이려는 의도가 숨어 있는 부드럽고 아름다운 말과 태도를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이 한자성어의 유래는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 공자의 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공자는 자신의 제자들에게 이런 교언영색을 경계하라고 가르쳤습니다. 그는 진실되고 솔직한 대화를 중요시했으며, 말과 표정을 꾸며 사람을 현혹하는 것을 경계했습니다. 이 한자성어는 특히 정치나 사회적 상황에서 진정성 없는 말과 행동을 경계하는 데 사용되곤 합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교언영색은 여전히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특히, 정치, 사회, 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의 이익을 위해 겉으로는 좋은 모습을 보이지만 속정은 다른 사람들을 속이는 경우를 비판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공교할 교(巧), 말씀 언(言), 좋을 령(令), 빛 색(色)
암기 방법은 ’교‘수가 ’언‘론에 ’영‘화 ’색‘깔을 평가했다. ’교언영색‘으로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한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54번째 한자성어 이심전심(以心傳心)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1.28 |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53번째 한자성어 간담상조(肝膽相照)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1.28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51번째 한자성어 목불식정(目不識丁)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1) | 2024.11.28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50번째 한자성어 시위소찬(尸位素餐)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1) | 2024.11.27 |
한자성어 49번째 새옹지마(塞翁之馬)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