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7번째 한자성어 순망치한 (脣亡齒寒)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순망치한 (脣亡齒寒) 은 입술이 없어지면 이가 시리다"라는 뜻으로, 서로 돕는 사이인 둘 중 하나가 망하거나 불행해지면 다른 한쪽도 그렇게 된다는 의미를 가진 고사성어입니다. 즉,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는 존재들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한쪽이 어려움에 처하면 다른 한쪽도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 고사성어는 춘추시대의 일화에서 유래했습니다. 춘추시대에 우(虞)나라와 괵(虢)나라는 동맹 관계를 맺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강대한 진(晉)나라가 우나라와 괵나라 사이를 이간질시키고, 결국 괵나라를 먼저 멸망시켰습니다. 괵나라가 없어지자 진나라는 곧바로 우나라를 공격하여 멸망시켰습니다. 이처럼 우나라와 괵나라는 서로 돕지 못하고 멸망하게 된 것입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입술 순(脣), 사라질 망(亡), 이 치(齒), 추울 한(寒)으로써
암기방법은 ‘순’간 ‘망’설이지 말고 ‘치’열하게 ‘한’판 붙자.”로 ‘순망치한’을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한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9번째 한자성어 문경지교 (刎頸之交)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7 |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8번째 한자성어 비육지탄 (髀肉之嘆)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7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6번째 한자성어 안분지족 (安分知足)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7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5번째 한자성어 식자우환 (識字憂患)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3) | 2024.12.05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4번째 한자성어 연목구어 (緣木求魚)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