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9번째 한자성어 문경지교 (刎頸之交)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문경지교 (刎頸之交) 는 '목을 베어줄 정도로 친한 사이"**라는 뜻으로, 매우 친밀하고 깊은 우정을 나누는 사이를 이르는 말입니다.
이 한자성어의 유래는 중국 전국시대의 이야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당시 베이위(北魏)의 정치가인 증자(曾子)와 그의 친구 사이에 일어난 일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집니다. 증자가 자신의 죽음을 각오했을 때, 그의 친구가 그의 목을 베어 자신의 죽음을 대신하겠다고 자처했다는 이야기에서 나온 말입니다. 이처럼, 문경지교는 흔들림 없는 우정과 서로에 대한 극진한 헌신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베다 문(刎), 목 경(頸), 갈 지(之), 사귈 교(交)으로써
암기방법은 ‘문’제가 생기면 ‘경’청해주는 ‘지’혜로운 ‘교’수님”. ‘문경지교’로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한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81번째 한자성어 마부작침 (磨斧作針)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8 |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80번째 한자성어 백운고비 (白雲孤飛)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7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8번째 한자성어 비육지탄 (髀肉之嘆)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7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7번째 한자성어 순망치한 (脣亡齒寒)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7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6번째 한자성어 안분지족 (安分知足)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