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8번째 한자성어 비육지탄 (髀肉之嘆)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비육지탄 (髀肉之嘆) 은 '허벅지 살의 탄식'이라는 뜻의 한자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자신의 능력이나 재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안타까워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이 한자성어의 유래는 중국 춘추시대의 인물인 비나라의 관중에게서 옵니다. 관중은 젊은 시절에는 큰 능력을 발휘하지 못했으며, 그 때문에 "내 허벅지 살이 늘어만 간다"고 탄식했다고 합니다. 이는 자신의 재능을 쓸모있게 사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했죠. 그러나 나중에 관중은 제나라에서 높은 관직에 오르며 큰 업적을 이루었습니다. 이 한자성어는 따라서,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을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허벅지 비(脣), 고기 육(亡), ~의 지(齒), 탄식할 탄(寒)으로써
암기방법은 ‘비’만으로 ‘육’체 활동이 어려워 ‘지’금부터 운동을 ‘탄’력적으로 한다”로 ‘비육지탄’을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한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80번째 한자성어 백운고비 (白雲孤飛)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7 |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9번째 한자성어 문경지교 (刎頸之交)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7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7번째 한자성어 순망치한 (脣亡齒寒)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7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6번째 한자성어 안분지족 (安分知足)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7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5번째 한자성어 식자우환 (識字憂患)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3) | 2024.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