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68번째 한자성어 하충의빙(夏蟲疑氷)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하충의빙은 "여름 벌레는 얼음을 의심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곧 **"짧은 경험으로 세상 전체를 판단하려는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말이죠.
이 고사성어는 조우의 <장자>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여름에만 살아있는 벌레는 겨울의 얼음을 경험해 보지 못했기 때문에 얼음의 존재 자체를 믿지 못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한계된 경험이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것들을 이해하지 못하고 의심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하충의빙"은 자신의 경험이나 지식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으며, 보다 넓은 시야와 개방된 마음을 가질 필요성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이 고사는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에 국한되지 않고, 더 넓은 세계를 이해하려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는 점을 상기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여름 하(夏), 벌레 충(蟲), 의심할 의(疑), 얼음 빙(氷)
암기 방법은 "하"늘을 나는 "충"돌은 "의"미 있게 "빙"하를 만난다. ’하충의빙‘으로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한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0번째 한자성어 형설지공(螢雪之功)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1) | 2024.12.04 |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69번째 한자성어 절치부심(切齒腐心) (0) | 2024.12.04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67번째 한자성어 환골탈태(換骨奪胎)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4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66번째 한자성어 막무가내(莫無可奈)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1) | 2024.12.04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65번째 한자성어 난형난제(難兄難弟)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1) | 202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