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4번째 한자성어 연목구어 (緣木求魚)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연목구어 (緣木求魚)는 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찾는다는 뜻으로,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하려 한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이 고사성어는 중국의 대표적인 유학자 중 한 명인 맹자의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 맹자가 제나라 선왕에게 왕도정치를 설파하며, 무리한 야욕을 버리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즉, 선왕이 무력으로 천하를 통일하려는 것은 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잡으려는 것과 같이 불가능하고 어리석은 일이라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인연 연(緣), 나무 목(木), 구할 구(求), 물고기 어(魚)로써
암기방법은 ’연‘인은 ’목‘표를 향해 ’구‘체적인 계획 없이 ’어‘리석은 짓만 하네.”로 ’연목구어‘를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한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6번째 한자성어 안분지족 (安分知足)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7 |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5번째 한자성어 식자우환 (識字憂患)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3) | 2024.12.05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3번째 한자성어 암중모색 (暗中摸索)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5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2번째 한자성어 읍참마속(泣斬馬謖)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1) | 2024.12.05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1번째 한자성어 지록위마(指鹿爲馬)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