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3번째 한자성어 암중모색 (暗中摸索)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암중모색 (暗中摸索)은 어둠 속에서 더듬어 찾는다는 뜻으로, 주로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해결책을 찾으려고 애쓰거나, 정확한 정보 없이 어림짐작으로 일을 처리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이 고사성어는 당나라 시대의 학자 허경종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허경종은 기억력이 매우 나빠 사람의 얼굴을 곧잘 잊어버렸다고 합니다. 그는 스스로를 비하하며 "만약 하손이나 유효작처럼 뛰어난 인물이었다면 나는 깜깜한 어둠 속에서 더듬어서라도 기억할 수 있네"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즉, 뛰어난 사람이라면 어떤 어려운 상황에서도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는 의미로, 암중모색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입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어두울 암(暗), 가운데 중(中), 더듬을 모(摸), 찾을 색(索)
암기방법은 ’암‘흑 속에서 ’중‘심을 잃지 않고 ’모‘험을 떠나는 건 ’색‘다른 경험이 될 거야”로 ’암중모색‘으로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한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5번째 한자성어 식자우환 (識字憂患)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3) | 2024.12.05 |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4번째 한자성어 연목구어 (緣木求魚)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5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2번째 한자성어 읍참마속(泣斬馬謖)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1) | 2024.12.05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1번째 한자성어 지록위마(指鹿爲馬)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5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0번째 한자성어 형설지공(螢雪之功)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1) | 2024.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