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2번째 한자성어 읍참마속(泣斬馬謖)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읍참마속(泣斬馬謖)은 중국 삼국시대의 일화에서 유래한 한자성어로, "마속을 울면서 참하다"라는 뜻입니다. 이 표현은 잘못을 저질렀지만 불가피하게 엄중한 처벌을 내려야 할 때 사용됩니다. 특히 감정적으로 힘들거나 안타까울 때 쓰이는 표현이죠.
이 고사성어의 유래는 삼국지의 유명한 인물인 제갈량은 마속을 매우 아꼈고 그의 능력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마속이 전투에서 중대한 실수를 저질러 군사적으로 큰 손실을 입히자, 제갈량은 마속을 처벌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제갈량은 마속을 처형하기 전에 그를 위해 울면서 그의 잘못을 탓했고, 결국 엄격하게 법을 집행하여 마속을 처형했습니다.
이 이야기는 리더가 부하를 사랑하더라도 규율과 법을 엄격히 지켜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으며, 개인적 감정과는 별개로 공정하게 처벌을 내려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울 읍(泣), 벨 참(斬), 말 마(馬), 일어날 속(謖)으로
암기방법은 '읍'소하며 '참'기 어려운 '마'음으로 '속'상함을 겪네. ’읍참마속‘으로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한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4번째 한자성어 연목구어 (緣木求魚)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5 |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3번째 한자성어 암중모색 (暗中摸索)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5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1번째 한자성어 지록위마(指鹿爲馬)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0) | 2024.12.05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70번째 한자성어 형설지공(螢雪之功)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1) | 2024.12.04 |
공무원시험에 자주 나오는 69번째 한자성어 절치부심(切齒腐心) (1) | 2024.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