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성어

한자성어 49번째 새옹지마(塞翁之馬)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반응형

한자성어 49번째 새옹지마(塞翁之馬)의 뜻과 유래 및 외우는 방법.

 

새옹지마는 "변방 늙은이의 말"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은 예측할 수 없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나쁜 일 속에서도 좋은 일이 있을 수 있고, 좋은 일 속에서도 나쁜 일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성어입니다.

 

중국 전한 시대의 책인 회남자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 변방에 살던 노인이 소중하게 기르던 말이 어느 날 도망쳐 버렸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노인을 위로했지만, 노인은 "이것이 복이 될지 누가 알겠는가?"라고 말했습니다. 얼마 후, 도망갔던 말이 암말과 함께 돌아왔고, 아들이 말을 타다가 다리를 다쳐 걸음이 불편해졌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안타까워했지만, 노인은 역시 "이것이 화가 될지 누가 알겠는가?"라고 말했습니다. 얼마 후 나라에 전쟁이 일어나 젊은이들이 모두 전쟁터로 끌려갔지만, 노인의 아들은 다리가 불편하여 전쟁에 나가지 않아 목숨을 건졌습니다. 이 이야기를 통해 좋은 일이 나쁜 일로, 나쁜 일이 좋은 일로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인생의 길흉화복은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한자의 음과 뜻은 변방 새(), 늙은이 옹(), 갈 지(), 말 마()

암기 방법은 렁이를 냥 좋아해. ’새옹지마로 암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